여행과 산행 670

[서산] 해미읍성(海美邑城)

서산 해미읍성(海美邑城) 해미는 1414년(태종 14)에 충청도 덕산으로부터 충청도병마절도사영이 옮겨온 곳으로, 충청도병마절도사영이 청주로 이전한 1651년(효종 2)까지 군사적 거점이 되었던 입니다. 해미읍성은 1491년(성종 22)에 축조되어 서해안 방어를 맡았던 곳입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성의 둘레가 3,172척, 높이가 15척, 성 안에는 3개의 유물과 군창이 설치되어 있다고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영조 때 편찬된 〈여지도서〉에 의하면 성의 둘레가 6,630척으로 보로 계산하면 2,219보가 되고 높이는 13척, 치성은 382첩으로 되어 있으며, 사방에 문이 있다고 했습니다. 이 기록을 통하여 볼 때 해미읍성의 규모가 훨씬 확대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1960년에 이 성을 우리나라에..

[서산] 해미향교(海美鄕校)

서산 해미향교(海美鄕校) 1407년(태종 7)에 현유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습니다. 숙종 때와 1844년(헌종 10)·1967년에 각각 중수하였습니다. 경내의 건물로는 대성전·동재(東齋)·서재(西齋)·내삼문(內三門) 등이 있으며, 대성전에는 5성, 송조4현(宋朝四賢), 우리 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습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이 교생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라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가을에 석전을 봉행하며 초하루·보름에 분향을 하고 있습니다. 소장전적으로는 판본 16종 81책, 사본 3종 7책이 있습니다. 대성전은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97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운영은 전교(典校)..

[정읍] 내장산 내장사(內藏寺)

allownetworking="internal"> 내장산 내장사(內藏寺) 원래 내장사에는 636년(백제 무왕 37) 영은조사가 50여 동의 대가람으로 창건한 영은사와 660년(백제 의자왕 20) 유해선사가 세운 내장사가 있었습니다. 1539(중종 34) 내장산에서 승도탁란사건이 일어나자 중종은 내장사와 영은사가 도둑의 소굴이라 하여 소각했습니다. 그뒤 1557년(명종 12) 희묵이 영은사 자리에 법당과 요사채를 건립하고 절 이름을 내장사로 고쳤는데, 이곳이 현재의 내장사 전신입니다. 정유재란 때 전소된 것을 1639년(인조 17) 부용대사가 중수하고 불상을 도금했으며, 1779년(정조 3) 영운대사가 대웅전을 중수하고 요사채를 개축했습니다. 1925년 백학명 선사는 옛 내장사 자리인 벽련암으로 옮겨 벽련..

[공주] 황새바위 순교성지(殉敎遺跡)

황새바위 순교성지(殉敎遺跡) * 천주교 박해의 산현장, 황새바위 천주교도 순교지 * 충청감영이 있던 공주에서는 천주교 박해 때마다 각처에서 체포된 천주교도들이 와서 문초와 형벌을 받았습니다. 그중에서 끝까지 천주 신앙을 지킨 순교자들 가운데 일부가 공주의 처형지에서 순교했는데, 그 순교지가 바로 황새바위입니다. 천주교 박해가 극심했던 18세기 100여년 동안(1797~1879) 수많은 천주교 신자들이 공개 처형된 사형터입니다. 즉, 유교를 통치이념으로 했던 조선조 시대에 충청도의 감영이 있던 공주로 압송된 천주교 신도 248명이 순교를 당한 곳입니다. 죄인들의 공개 처형지였던 이곳 황새바위는 황새도 서식했던 곳이기에 황새바위라고도 하고, 이곳에 있던 바위가 죄수들의 목에 씌우는 칼이 황새 모양으로 생겼고..